세계 시민과 연구자를 위한 5·18국제연구원

찾고 있는 키워드를 검색해보세요.

세계 시민과 연구자를 위한 5·18국제연구원 The May 18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연구원소개

연구원소개

5·18 국제연구원

5·18국제연구원은 5·18연구를 세계시민과 공유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 01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담론 형성과 5·18정신 확산
    - 5‧18 및 자유와 정의 그리고 민주‧인권‧평화 연구를 확장하는 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 다양한 연구자의 강연을 통해 일반 시민에게 5·18 연구성과 소개
  • 02
    자유와 정의 그리고 민주·인권·평화 연구 플랫폼 및 연구 네트워크 구축
    - 다양한 주제의 공동학술대회를 열어 5·18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구주제의 확장 모색
    - 연구논문공모 & 연구자(기관) 활동 지원
  • 03
    세계 시민들과 공유하는 5·18정신
    - 구술수집 및 번역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5‧18증언을 세계인이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번역을 시작
    - 5·18민주화운동의 세계적 공유를 위해, 다양한 자료를 발간하고 번역
    - 연구성과의 체계적 수집과 확산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자료제공 서비스
  • 04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후속작업을 위한 방향 제시
    - 5·18연구의 중심연구기관으로써, 건설적인 아젠다와 지향점을 제시

5·18 민주화운동

1980년 5월 18일, 대한민국 정권을 찬탈하려는 전두환 군부에 맞서 광주에서 민주화운동이 발발하였다. 전두환 군부는 무차별적인 살상으로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하였고, 10일간 이어진 민주화운동 동안 최소 150명의 민간인 즉사, 80여 명 실종,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낳았다. 1980년 후반이 되어서야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진실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전두환은 내란 세력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5·18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군부주의를 끊어내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는 역사적 전기를 마련하였다. 더 나아가 반독재 저항의 전통을 계승한 운동이다. 또한, 인간의 천부적인 권리로서의 ‘저항권’을 획득하고, 적극적인 저항권의 행사인 ‘무장투쟁’의 합법성과 정당성을 인정받게 된 운동이다.
  • 518민주화운동
  • 518민주화운동

5·18 기념재단

5·18국제연구원을 설립한 5·18기념재단은 희생자들의 보상금과 국민성금, 해외동포 성금을 모아 1994년 8월 30일 설립된 비영리 민간 재단법인이다. 5·18기념재단은 5·18정신을 확산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촉진하기 위해 일하고 있다.
  • 2011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2011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비정부기구위원회 특별회의 지위 획득